학과정보탐색
메카트로닉스과
 
공학계열 >
취업률 >
취업률 60 % 이상
- 학과개요
- 개설대학
(수시등급, 입시자료, 등 제공) - 학과전망
- 이 학과를 보는 회원특성
· 학과개요
학과개요
- 메카트로닉스(Mechatronics)는 기계공학((Mechanics)과 전자공학(Electronics)을 통합한 분야입니다. 즉, 기계의 제어에 전자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고성능화, 자동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. 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응용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전자계산기와 산업용 로봇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. 메카트로닉스과는 메카트로닉스 제품의 개발, 설계, 제조 그리고 모든 자동화 산업(FA, OA, HA)의 관리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지식정보화 사회 실현을 위해 복합기술인 기계와 전기ㆍ전자 제어에 관한 기술을 교육하며, 고도 산업사회의 수요에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전문 지식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합니다.
학과특성
- 메카트로닉스는 기계공학과 전자공학의 합성어로, 메카트로닉스과는 본질적으로 융합 학문적인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. 메카트로닉스과는 향후 과학 기술이 초소형화, 복합 시스템화 및 디지털화하는 추세에 부합하여 보다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
흥미와 적성
- 평소에 기계, 전기, 전자 및 컴퓨터 등을 다루는 데 관심이 많거나, 이러한 것들을 활용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에 흥미가 있다면 이 학과에 관심을 가져볼 만합니다. 특히, 수학이나 과학에 대한 적성과 함께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이 학과공부에 도움이 됩니다. 과학적인 사고와 함께 융ㆍ복합적인 사고가 있는 학생에게 유리합니다.
관련 고교 교과목
- 공통과목수학, 과학, 기술ㆍ가정
- 일반선택과목수학교과 : 수학ⅠㆍⅡ, 미적분, 확률과 통계
과학교과 : 물리학Ⅰ, 화학Ⅰ
기술ㆍ가정교과 : 기술ㆍ가정, 정보 - 진로선택과목기하, 물리학Ⅱ, 화학Ⅱ, 공학 일반
- 전문교과Ⅰ심화수학ⅠㆍⅡ, 고급 수학ⅠㆍⅡ, 고급 물리학, 물리학 실험, 고급 화학, 화학 실험, 정보과학, 융합과학탐구, 과학과제연구
- 전문교과Ⅱ공업 일반, 기계 제도, 기계 일반, 기계 제어 설계, 전자 회로, 산업용 전자 기기 소프트웨어 개발
- [출처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, 보인다 시리즈 5.0 -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]
진로 탐색 활동
- 코딩 로봇 조립 - 코딩 로봇 키트 조립을 통해 각종 센서의 역할, 구동장치의 원리, 전기 장치 조립 등 로봇이 움직이기 까지 과정을 통해 로봇에 대한 경험과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.
코딩실습 - 엔트리, 코딩실습 웹사이트를 통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배우고 학습 할 수 있습니다.
동영상시청 - AI, 로봇. 메카트로닉스, 기계공학, 기계제어, 전기제어 등 관련된 영상 시청을 통해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대학 주요 교과목
- 컴퓨터구조개론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초적인 내용을 이해하고, 또한 컴퓨터 구조와 기억장치, 기본적인 입출력장치 등과 같은 기본 구성 장치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웁니다.
- 로봇공학로봇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로봇 개발에 필요한 매니퓰레이터(Manipulator)의 기구학, 동역학을 배우고, 제어기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제어이론 및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합니다.
- 전자회로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정류, 증폭, 발진, 변조, 복조 등 전기전자에서 응용되는 특수회로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, 회로설계응용을 학습합니다.
- 재료역학각종 기계부품 및 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할 때 각 하중의 종류에 따라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률을 이론적으로 전개하고 기계설계에 기초가 되도록 합니다.
- 메카트로닉스개론전자ㆍ기계제품의 근간을 이루는 기계 메커니즘 기술, 전자회로 기술, 전산 기술의 기초와 개념을 주지시키고 제품의 전체 개념을 배웁니다.
관련 자격
- 기계산업기사, 생산자동화산업기사, 전기산업기사, 전자산업기사
관련 직업
- 공작기계조작원 , 드론전문가, 로봇공학자, 메카트로닉스공학기술자 , 무인자동차엔지니어, 산업공학기술자 , 전기계측제어기술자, 전자계측제어기술자
졸업 후 진출 분야
- 기업 및 산업체메카트로닉스 관련 제품 개발 업체, 전기ㆍ전자 분야 업체, 기계 분야 업체, 항공 우주 산업 업체, 공장 자동화 및 물류 시스템 분야 업체
- 정부 및 공공기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,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 공공기관
관련 동영상
· 개설대학
지역 | 대학명 | 학과명 |
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동양미래대학교 | 로봇공학과 |
서울특별시 | 인덕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서울특별시 | 인덕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서울특별시 |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(서울정수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부산광역시 |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(부산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인천광역시 | 인하공업전문대학 | 메카트로닉스과 |
인천광역시 |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(인천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인천광역시 |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(인천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대전광역시 | 대덕대학교 | 마이크로로봇과 |
대전광역시 | 대덕대학교 | 로봇과 |
대전광역시 | 대덕대학교 | 컴퓨터로봇과 |
대전광역시 | 우송정보대학 | 스마트로봇자동화과 |
대전광역시 | 한국폴리텍 IV 대학 대전캠퍼스(대전캠퍼스) | 로봇자동화과 |
대전광역시 | 한국폴리텍 IV 대학 대전캠퍼스(대전캠퍼스) | 스마트로봇자동화과 |
대구광역시 | 한국폴리텍대학 대구캠퍼스(대구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대구광역시 |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(섬유패션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광주광역시 | 조선이공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광주광역시 | 조선이공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광주광역시 | 조선이공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학과 |
광주광역시 | 한국폴리텍V대학 광주캠퍼스(광주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기도 | 경기과학기술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경기도 | 경기과학기술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기도 | 경복대학교 | 지능로봇과 |
경기도 | 김포대학교 | 로봇자동화과 |
경기도 | 대림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기도 | 대림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경기도 | 대림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ㆍ자동화학부 |
경기도 | 동서울대학교 | 로봇자동화전공 |
경기도 | 두원공과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기도 | 두원공과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경기도 | 부천대학교 | 지능로봇공학과 |
경기도 | 부천대학교 | 자동화로봇공학과(1년과정) |
경기도 | 부천대학교 | 지능로봇과 |
경기도 | 부천대학교 | 지능로봇공학과(1년과정) |
경기도 | 부천대학교 | 자동화로봇과 |
경기도 | 여주대학교 | 지능로봇과 |
경기도 | 유한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기도 | 유한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강원도 | 강원도립대학교 | 로봇스마트팩토리과 |
충청북도 | 한국폴리텍IV 대학 청주캠퍼스(청주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충청남도 | 한국폴리텍 IV 대학 아산캠퍼스(아산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전라북도 | 전주비전대학교 | 자동차로봇공학과 |
전라북도 | 전주비전대학교 | 자동차로봇학과 |
전라북도 | 전주비전대학교 | 자동화기계과 |
전라북도 | 한국폴리텍 V 대학 김제캠퍼스(김제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상북도 | 가톨릭상지대학교 | 자동차모터스포츠과 |
경상북도 | 구미대학교 | 자동화기계공학과 |
경상남도 | 경남도립남해대학 | 메카트로닉스학과 |
경상남도 | 마산대학교 | 로봇자동화과 |
경상남도 | 마산대학교 | 로봇메카트로닉스과 |
경상남도 | 창원문성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상남도 | 창원문성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전공 |
경상남도 |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(창원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과 |
경상남도 |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(창원캠퍼스)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|
경상남도 | 한국폴리텍대학 창원캠퍼스(창원캠퍼스) | 로봇시스템과 |
경상남도 | 한국폴리텍대학 항공캠퍼스(항공캠퍼스) | 항공메카트로닉스과 |
경상남도 | 한국폴리텍대학 항공캠퍼스(항공캠퍼스) | 항공메카트로닉스과(스마트기계시스템전공) |
제주특별자치도 | 제주관광대학교 | 메카트로닉스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