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과정보탐색

문화재과

 

인문계열 > 문화재과

  • 취업률 > 취업률40 % 이상

  • 학과개요
  • 개설대학(수시등급, 입시자료, 등 제공)
  • 학과전망
  • 이 학과를 보는 회원특성

· 학과개요


학과개요


  • 문화재란 우리의 선조들이 남긴 문화유산으로 보존ㆍ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. 유형의 문화재는 본래의 장소, 혹은 완비된 시설에 원형 그대로 그 가치를 유지ㆍ보존해야 합니다. 그런데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따른 산업화ㆍ도시화의 진전에 의해 문화재의 발굴이 불가피하게 되었고, 그 수요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. 이에 문화재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이해시키고, 문화재의 조사 발굴, 복원, 보존 방법에 대한 이론 강의 및 실습을 통해 문화재 관리전문가 양성을 교육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.

학과특성

  • 문화유산의 가치를 이해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노화되는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과, 조사 및 발굴, 복원에 대해 공부할 수 있습니다. 문화재 보존 진단을 위하여 인문학적, 과학적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련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흥미와 적성

  • 문화재보존에 대해 관심과 책임의식이 있고 탐구하는데 흥미가 있고 꼼꼼하다면 유리합니다. 또한 문화재를 다뤄야하므로 역사, 유적, 유물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좋습니다.

관련 고교 교과목

  • 공통과목사회, 역사, 한문, 수학, 영어, 제2외국어
  • 일반선택과목사회교과 : 사회문화, 세계사, 동아시아사, 한국지리, 윤리와 사상
    한문ㆍ외국어교과 : 한문Ⅰ, 한문Ⅱ, 영어Ⅰ, 영어Ⅱ, 중국어Ⅰ, 일본어Ⅰ
    수학교과 : 수학Ⅰ, 수학Ⅱ, 확률과 통계
  • 진로선택과목사회문제 탐구, 고전 읽기, 고전과 윤리, 여행지리, 현대 세계의 변화
  • 전문교과Ⅰ사회탐구 방법, 사회과제 연구, 한국 사회의 이해, 비교 문화, 지역 이해
  • 전문교과Ⅱ문화콘텐츠 산업 일반
  • [출처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, 보인다 시리즈 5.0 -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]

진로 탐색 활동

  • 문화재 답사 - 문화재 답사를 통해 문화재에 담긴 역사를 살펴보고 탐색할 수 있습니다.

대학 주요 교과목

  • 문화유산해설문화 콘텐츠 제작과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을 고증하고 설명하는 방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터득합니다.
  • 문화재의 이해문화재의 개념과 가치, 문화재의 유형과 분류, 유형별 문화재의 내용, 문화재 조사법 등 문화재에 관한 기초를 배웁니다.
  • 문화재조사법고고, 역사, 민속 등 문화재 자료의 조사법에 대한 이론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조사현장에서의 실무 능력을 배웁니다.
  • 유물복원법토기와 도자기, 금속 유물, 석재 유물, 목재 유물 등 다양한 재질의 유물의 재질을 분석하고 첨단 기자재를 통하여 원형을 복원하는 기술을 배웁니다.
  • 유적 발굴조사법지하나 수중에 매장되어 있는 문화유적을 과학적으로 발굴하고, 자료 정리 및 보고서 작성 등의 방법을 현장 실습과 실무를 통하여 익힙니다.

관련 자격

  • 문화유산교육전문가, 문화재수리기술자, 박물관및미술관준학예사

관련 직업

졸업 후 진출 분야

  • 기업 및 산업체언론사, 박물관, 미술관
  • 정부 및 공공기관문화재 관련 국가ㆍ민간 기관, 국립박물관문화재단, 한국문화재재단 등 문화재 관련 공공기관

관련 동영상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관련 진로상담

상담 제목대상등록일
진로를 선택하지 못하겠어요중학생(14~16세 청소년)2020-12-20
무슨 일을 하면 좋은지 모르겠습니다.일반2020-08-12
제 이야기를 들어주세요대학생2020-04-29
28살인데 아무것도 해 놓은게 없는것 같아요....일반2020-04-21
문화재보존원이 되고 싶어요..중학생(14~16세 청소년)2020-03-11




· 개설대학

지역 대학명 학과명
서울특별시 서일대학교 민족문화학과
서울특별시 서일대학교 민족문화과
대전광역시 대전보건대학교 문화재과
경기도 경민대학교 독서문화콘텐츠과
전라북도 전주비전대학교 국제문화과
경상북도 경북과학대학교 문화재관리과
경상북도 한국복지사이버대학 독도학과

· 학과전망

· 이 학과를 보는 회원특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