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과정보탐색
식물자원학과
 
자연계열 >
취업률 >
취업률 60 % 이상
- 학과개요
- 개설대학
(수시등급, 입시자료, 등 제공) - 학과전망
- 이 학과를 보는 회원특성
· 학과개요
학과개요
- 식물자원학과는 인간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학문을 다룹니다. 식물자원학과에서는 지구의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식물자원의 생산성을 유지하여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만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또한 각종 식물 유전자원, 즉 산채, 약용, 특용, 관상, 균이, 환경자원 식물 등의 탐색, 연구, 개발 및 보존 분야를 다룹니다.
학과특성
- 자연을 보호하면서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, 안전한 먹을거리를 얻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어 이를 연구하는 식물자원학은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흥미와 적성
- 자연과 환경을 사랑하는 마음과 관심이 필요합니다. 나무를 비롯한 산림 자원과 풀, 꽃, 채소 등 다양한 식물의 생리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화학이나 물리, 생물 등 기초과학에 소질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.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자료를 조사하는 능력과 연구를 꼼꼼하게 진행하고 결과를 정확하게 정리하는 능력,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지닌 응용력이 필요합니다.
관련 고교 교과목
- 공통과목과학, 교양, 영어
- 일반선택과목과학교과 : 생명과학Ⅰ, 화학Ⅰ, 지구과학Ⅰ, 물리Ⅰ
교양교과 : 환경, 보건학, 논술, 생활과 창의성, 진로와 직업
영어ㆍ생활교과 : 영어Ⅰ, 영어Ⅱ, 기술가정, 정보 - 진로선택과목생명과학Ⅱ, 융합과학, 생활과 과학, 화학Ⅱ, 농업생명과학, 공학일반, 창의경영, 해양문화 기술
- 전문교과Ⅰ고급 생명과학, 생명과학 실험, 물리화학 실험, 융합과학 탐구, 정보과학, 과학 과제연구, 생태와 환경
- 전문교과Ⅱ생명공학 기술, 인간과 환경, 환경 화학 기초, 친환경 농업, 농업 기초 기술
- [출처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, 보인다 시리즈 5.0 -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]
진로 탐색 활동
- 식물 및 채소 기르기 활동 - 가정 내에서 씨앗이나 종자 등을 키워봄으로써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, 환경, 식물을 둘러싼 해충 해결 등의 일련의 연구 과정을 직접 진행해보고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.
환경보호, 자연보호을 주제로 한 토론 - 식물자원학과가 필요한 이유와 중요성에 대해 확인해보고 해당 학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.
대학 주요 교과목
- 농업기상학기상 요소의 기초 개념을 파악하여 각 요소와 농업 관계를 밝히고 농작물과 기상 환경을 배웁니다.
- 야생식물학유용한 야생식물의 재배 기술, 특성 및 그 이용에 관한 지식을 배웁니다.
- 약용식물학약용 식물의 계통 분류별 특징을 조사하고, 외부 형태 관찰 및 내부 조직의 특징을 관찰하며, 특히 세포 내 함유물을 일반 성분과 약효 성분으로 분류하여 배웁니다.
- 자원식물재배학작물재배의 기본 원리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재배의 발달 과정, 재배의 기원과 현황에 대해 배웁니다.
- 환경농학시비, 병충해 방제나 잡초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의 농업생산 활동이 토양이나 수질 오염에 미치는 영향과 대기 및 수질 오염이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웁니다.
관련 자격
- 농산물품질관리사, 식물보호기사, 유기농업기사, 종자기사
관련 직업
졸업 후 진출 분야
- 기업 및 산업체종자 및 종묘 회사, 농약 회사, 농산물 가공 및 유통업체, 환경 관련 회사
- 학계 및 연구기관고등학교, 대학교, 한국생명공학연구원, 한국화학연구원,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과학 계통 연구원
- 정부 및 공공기관농촌진흥청, 농업기술원 및 산하 시험장, 농업행정기관, 국립식물검역소 등 농업 관련 공공기관최종수정일2020-12-02
학과개요
- 식물자원학과는 인간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학문을 다룹니다. 식물자원학과에서는 지구의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식물자원의 생산성을 유지하여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만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또한 각종 식물 유전자원, 즉 산채, 약용, 특용, 관상, 균이, 환경자원 식물 등의 탐색, 연구, 개발 및 보존 분야를 다룹니다.
학과특성
- 자연을 보호하면서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, 안전한 먹을거리를 얻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어 이를 연구하는 식물자원학은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흥미와 적성
- 자연과 환경을 사랑하는 마음과 관심이 필요합니다. 나무를 비롯한 산림 자원과 풀, 꽃, 채소 등 다양한 식물의 생리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화학이나 물리, 생물 등 기초과학에 소질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.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자료를 조사하는 능력과 연구를 꼼꼼하게 진행하고 결과를 정확하게 정리하는 능력,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지닌 응용력이 필요합니다.
관련 고교 교과목
- 공통과목과학, 교양, 영어
- 일반선택과목과학교과 : 생명과학Ⅰ, 화학Ⅰ, 지구과학Ⅰ, 물리Ⅰ
교양교과 : 환경, 보건학, 논술, 생활과 창의성, 진로와 직업
영어ㆍ생활교과 : 영어Ⅰ, 영어Ⅱ, 기술가정, 정보 - 진로선택과목생명과학Ⅱ, 융합과학, 생활과 과학, 화학Ⅱ, 농업생명과학, 공학일반, 창의경영, 해양문화 기술
- 전문교과Ⅰ고급 생명과학, 생명과학 실험, 물리화학 실험, 융합과학 탐구, 정보과학, 과학 과제연구, 생태와 환경
- 전문교과Ⅱ생명공학 기술, 인간과 환경, 환경 화학 기초, 친환경 농업, 농업 기초 기술
- [출처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, 보인다 시리즈 5.0 -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]
진로 탐색 활동
- 식물 및 채소 기르기 활동 - 가정 내에서 씨앗이나 종자 등을 키워봄으로써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, 환경, 식물을 둘러싼 해충 해결 등의 일련의 연구 과정을 직접 진행해보고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.
환경보호, 자연보호을 주제로 한 토론 - 식물자원학과가 필요한 이유와 중요성에 대해 확인해보고 해당 학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.
대학 주요 교과목
- 농업기상학기상 요소의 기초 개념을 파악하여 각 요소와 농업 관계를 밝히고 농작물과 기상 환경을 배웁니다.
- 야생식물학유용한 야생식물의 재배 기술, 특성 및 그 이용에 관한 지식을 배웁니다.
- 약용식물학약용 식물의 계통 분류별 특징을 조사하고, 외부 형태 관찰 및 내부 조직의 특징을 관찰하며, 특히 세포 내 함유물을 일반 성분과 약효 성분으로 분류하여 배웁니다.
- 자원식물재배학작물재배의 기본 원리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재배의 발달 과정, 재배의 기원과 현황에 대해 배웁니다.
- 환경농학시비, 병충해 방제나 잡초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의 농업생산 활동이 토양이나 수질 오염에 미치는 영향과 대기 및 수질 오염이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웁니다.
관련 자격
- 농산물품질관리사, 식물보호기사, 유기농업기사, 종자기사
관련 직업
졸업 후 진출 분야
- 기업 및 산업체종자 및 종묘 회사, 농약 회사, 농산물 가공 및 유통업체, 환경 관련 회사
- 학계 및 연구기관고등학교, 대학교, 한국생명공학연구원, 한국화학연구원,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과학 계통 연구원
- 정부 및 공공기관농촌진흥청, 농업기술원 및 산하 시험장, 농업행정기관, 국립식물검역소 등 농업 관련 공공기관
· 개설대학
지역 | 대학명 | 학과명 |
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동국대학교(서울캠퍼스) | 식물자원학전공 |
서울특별시 | 동국대학교(서울캠퍼스) | 식물자원학과 |
서울특별시 | 서울대학교 | 식물생산ㆍ산림과학부군 |
서울특별시 | 서울대학교 | 식물생산과학부 |
서울특별시 | 한양대학교(서울캠퍼스) | 자원환경공학과 |
대전광역시 | 충남대학교 | 식물자원학부 |
대전광역시 | 충남대학교 | 식물자원학과 |
대전광역시 | 충남대학교 | 응용식물학과 |
대구광역시 | 경북대학교 | 생태환경시스템학부(산림환경자원전공, 식물자원환경전공) |
대구광역시 | 경북대학교 |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식물자원환경전공 |
광주광역시 | 전남대학교(광주캠퍼스) | 응용식물학부 |
광주광역시 | 전남대학교(광주캠퍼스) | 응용식물학과 |
경기도 | 한경대학교 | 식물생명환경전공 |
경기도 | 한경대학교 | 응용자원환경학부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ㆍ자원생물환경화학과군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식물응용과학부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식물자원응용공학과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식물자원학전공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자원식물개발학과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식물자원응용공학전공 |
강원도 | 상지대학교 | 친환경식물학부 |
강원도 | 상지대학교 | 식물생명자원학과 |
강원도 | 상지대학교 | 친환경식물학부 유기농생태학전공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특용식물학과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식물자원학과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식물자원환경화학부 식물자원학전공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식물의학과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응용생명공학부 식물의학전공 |
충청남도 | 공주대학교 | 식물자원학과(야간) |
충청남도 | 공주대학교 | 식물자원학과 |
충청남도 | 상명대학교(천안캠퍼스) | 식물산업공학과 |
전라남도 | 순천대학교 | 식물의학과 |
전라남도 | 순천대학교 | 웰빙자원학과 |
경상북도 | 대구한의대학교(삼성캠퍼스) | 천연물자원전공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생약자원ㆍ식물의학전공군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식물의학전공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식물의학과 |
경상북도 | 영남대학교 | 자연자원학부 |
경상남도 | 경상국립대학교 | 식물의학과 |
경상남도 | 경상국립대학교 | 농업식물과학과 |
제주특별자치도 | 제주대학교 | 식물자원환경전공 |
제주특별자치도 | 제주대학교 | 식물자원과학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