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과정보탐색
원예학과
 
자연계열 >
취업률 >
취업률 80 % 이상
- 학과개요
- 개설대학
(수시등급, 입시자료, 등 제공) - 학과전망
- 이 학과를 보는 회원특성
· 학과개요
학과개요
-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문제가 커지면서, 저탄소 녹색 성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 원예학과는 숲의 산림 자원과 과수, 채소, 화훼 등 원예작물의 생산에서 활용까지 전 과정을 배우고, 자연환경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전문 인력을 기르는 곳입니다.
학과특성
- 최근 바이오 공학의 발전에 따라 산림ㆍ원예 분야에서도 이를 접목한 분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인 산림 바이오매스, 식물 조직 배양, 숲의 치유 기능 등 계속적인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원예에 대한 사람들에 관심도 많아지고 있습니다.
흥미와 적성
- 평소에 나무나 채소와 같은 식물을 기르는 것에 관심이 많거나 기초 과학 분야에 흥미가 있다면 이 학과에 관심을 가져 볼 만합니다. 자연과학이나 환경 및 농림 분야에 적성이 있으면 학과 공부에 도움이 됩니다. 생물, 화학, 화학, 물리와 같은 기초 과학 과목에 대한 소양이 있으면 유리합니다.
관련 고교 교과목
- 공통과목과학, 수학, 사회, 생활ㆍ교양
- 일반선택과목과학교과 : 생명과학Ⅰ, 화학Ⅰ, 물리Ⅰ, 지구과학Ⅰ
수학ㆍ사회교과 : 수학Ⅰ, 수학Ⅱ, 확률과 통계, 미적분, 한국지리, 생활과 윤리
생활ㆍ교양교과 : 환경, 보건학, 논술, 철학, 정보, 진로와 직업 - 진로선택과목생명과학Ⅱ, 융합과학, 생활과 과학, 화학Ⅱ, 공학일반, 창의경영, 지식 재산 일반, 농업생명과학, 사회문제 탐구
- 전문교과Ⅰ고급 생명과학, 생명과학 실험, 물리화학 실험, 융합과학 탐구, 과학 과제연구, 생태와 환경, 정보과학
- 전문교과Ⅱ임산 가공, 제조화학, 생명공학 기술, 산림자원
- [출처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, 보인다 시리즈 5.0 -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]
진로 탐색 활동
- 식물 및 화분 기르기 - 가정 내에서 씨앗이나 종자 등을 키워봄으로써 원예 관련 흥미나 적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식물원 및 숲 체험 - 식물원이나 숲을 방문하여 산책하거나 걸어보면서 다양한 종류의 꽃, 나무, 식물들을 관찰해보고 이들이 심신에 주는 유익함과 고마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.
대학 주요 교과목
- 시설원예학온실을 비롯한 주년생산 및 불시재배를 위한 시설의 구조, 시설 내의 환경관리 등에 관한 기초 지식의 습득과 무토양 재배를 포함한 특수재배 기술 등에 대해 배웁니다.
- 식물영양및비료무기이온의 흡수와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, 필수 원소의 기준, 토양이나 식물체 분석을 위한 무기이온의 균형 및 영양 상태의 진단 등에 대해 배웁니다.
- 원예작물생리학식물체의 구성 성분과 식물체 내의 물질대사, 발아생리, 생장생리, 개화결실생리 및 환경에 대한 식물의 반응 등의 문제에 대해 배웁니다.
- 원예학범론원예 작물의 분류, 작물의 형태 및 구조, 식물의 생장과 발육, 식물 생장의 조절, 식물 환경의 조절, 생물적 경합, 원예 작물의 번식 및 개량 등 원예의 기초 지식을 배웁니다.
- 조경학원론조경의 기본개념, 조경학의 사적고찰, 경관 및 시각요소에 대한 강의를 통하여 조경학에 포함되는 여러 분야의 상호관계에 대해 배웁니다.
관련 자격
- 농림토양평가관리기사, 농산물품질관리기사, 산림경영기사, 산림공학기사, 시설원예기사, 식물보호기사, 원예치료사, 유기농업기사, 임업종묘기사, 조경기사, 종자기사, 화훼장식기사
관련 직업
- 교사, 교수, 임업인, 조림영림및벌목원
졸업 후 진출 분야
- 기업 및 산업체자연 및 생태계 보호 업체, 펄프/제지 회사, 목재 회사, 생명 공학 관련 벤처기업, 나무병원, 식물원, 실내 인테리어 회사, 조경 회사, 농장, 화원, 육묘원
- 학계 및 연구기관대학, 산림, 원예 관련 국가 연구소, 산림 및 원예 관련 민간 기업체 연구소
- 정부 및 공공기관한국임업진흥원, 한국산림복지진흥원, 한국수목원관리원, 환경보전협회 등 환경ㆍ원예 관련 공공기관
관련 동영상
· 개설대학
지역 | 대학명 | 학과명 |
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건국대학교(서울캠퍼스) | 원예과학전공 |
서울특별시 | 경희대학교(본교-서울캠퍼스) | 원예생명공학과 |
서울특별시 | 고려대학교 | 원예과학과 |
서울특별시 | 삼육대학교 | 원예학과 |
서울특별시 | 삼육대학교 | 환경디자인원예학과 |
서울특별시 | 서울시립대학교 | 환경원예학과 |
서울특별시 | 서울여자대학교 | 원예생명조경학과 |
부산광역시 | 부산대학교 | 원예생명과학과 |
대전광역시 | 배재대학교 | 원예산림학과 |
대전광역시 | 배재대학교 | 원예학전공 |
대전광역시 | 배재대학교 | 원예조경학부 |
대전광역시 | 충남대학교 | 원예학과 |
대구광역시 | 경북대학교 | 식물생명과학부 원예학전공 |
대구광역시 | 경북대학교 | 원예과학과 |
대구광역시 | 경북대학교 | 생태자원응용학부 환경원예전공 |
광주광역시 | 전남대학교(광주캠퍼스) | 원예생명공학과 |
경기도 | 한경대학교 | 원예생명공학전공 |
경기도 | 한경대학교 | 원예생명과학과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·시스템공학부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학과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학전공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과학전공 |
강원도 | 강원대학교 | 원예·농업자원경제학부 |
강원도 | 상지대학교 | 친환경식물학부 원예ㆍ조경전공 |
강원도 | 상지대학교 | 친환경식물학부 원예조경학전공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원예과학과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응용생명공학부 특용식물학전공 |
충청북도 | 충북대학교 | 응용생명공학부 원예과학전공 |
충청남도 | 공주대학교 | 원예학과 |
충청남도 | 나사렛대학교 | 플라워디자인학전공 |
충청남도 | 단국대학교(천안캠퍼스) | 환경원예조경학부 환경원예학전공 |
충청남도 | 단국대학교(천안캠퍼스) | 환경원예조경학부 |
충청남도 | 단국대학교(천안캠퍼스) | 환경원예학과 |
전라북도 | 원광대학교 | 원예학과 |
전라북도 | 원광대학교 | 원예ㆍ애완동식물학부 |
전라북도 | 원광대학교 | 원예산업학과 |
전라북도 | 원광대학교 | 원예산업학부 |
전라북도 | 전북대학교 | 생물자원과학부(원예학전공) |
전라북도 | 전북대학교 | 원예학과 |
전라남도 | 목포대학교 | 원예과학과 |
전라남도 | 목포대학교 | 친환경바이오융합학과(원예생명과학트랙) |
전라남도 | 순천대학교 | 원예학과 |
경상북도 | 대구가톨릭대학교(효성캠퍼스) | 원예학전공 |
경상북도 | 대구가톨릭대학교(효성캠퍼스) | 원예학과 |
경상북도 | 대구가톨릭대학교(효성캠퍼스) | 환경원예조경학부 |
경상북도 | 대구대학교(경산캠퍼스) | 원예학과 |
경상북도 | 대구대학교(경산캠퍼스) | 생명환경학부(원예학전공)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원예육종학전공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원예육종학과 |
경상북도 | 안동대학교 | 원예ㆍ생약융합학부 |
경상북도 | 영남대학교 | 원예생명과학과 |
경상남도 | 경남과학기술대학교 | 원예과학과 |
경상남도 | 경남과학기술대학교 | 원예학과 |
경상남도 | 경상국립대학교 | 원예학과 |
제주특별자치도 | 제주대학교 | 원예환경전공 |
제주특별자치도 | 제주대학교 | 원예과학전공 |